JavaScript 12

변수의 기본 개념

* 변수란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값 * 프로그래밍 세계에선 변수는 이름(Label)이 붙은 값이다. 우리는 매번 작성하기 어려운 값에 대해서 변수에 할당해, 즉각즉각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. 예를 들면 뭐가있을까? 원주율로 예를 들수가 있겠다. 3.141592....를 일일히 매번 작성할순 없으니 말이다. 반지름의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에서, 또 변수로 둘만한것이 바로 반지름! radius 변수에 반지름의 길이를 넣어서 원의 넓이를 구해보았다. 그리고 이렇게 도출해낸 결과값을 , 우리는 또 다시 하나의 변수에 담아낼 수 있다. 이렇게 변수란, 후에 나올 함수나 객체, 배열등 무엇이든 담아내서 우리가 쉽게 꺼내쓸 수 있는 저장소 역할을 하고있다. *변수명엔 공백을 쓸수없다. EX ) let..

JavaScript/변수 2021.02.23

변수의 선언과 할당

변수란 무엇일까? 사실 지금의 나로썬 뭐라고 확실하게 대답할 수 있는 지식은 없는 것 같다. 그저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, 값이 할당되는 곳 이라고만 이해 할 뿐이다. 자바스크립트로 3단의 구구단을 출력한다고 치자. console.log 로 굉장히 쉽게 우리는 3단의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다. 그러나, 5단으로 바꿔야 되는 경우가 생기면 우리는 위에 적혀있는 3이라는 숫자를 전부 일일히 5로 바꿔야되는 귀찮음이 생긴다. 그럴때 사용하라고 변수라는게 있는거다. three(변수명) 라는 변수를 선언하고, 3이라는 값을 할당해줬다. 그리고 console.log로 변수 * 1 , 변수 * 2, 변수 * 3 식으로 결과를 출력해보자. 마찬가지로 three에는 3이라는 값이 들어가있으니 3단이 나온다. 선언되어 있는..

JavaScript/변수 2021.02.23